[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OECD국가 경제단체들이 올해 하반기 경제에 대해 긍정적 전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지정학적 긴장․인플레이션․에너지 위기 등이 경제회복의 관건으로 꼽았다.
OECD 경제산업자문위원회(Business at OECD, BIAC)이 발표한 ‘2023 경제정책 조사(2023 Economic Policy Survey)’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에 비해 조심스럽지만 긍정적인 경제전망을 내놨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계속되는 지정학적 긴장 상태, 인플레이션, 에너지 위기 등 여러 우려 요소가 존재하지만, 민간부문의 빠른 회복과 적응력을 고려할 때 지난해와 비교하면 긍정적으로 보인다는 평가다. 향후 구조개혁 이슈로는 녹색 전환과 디지털 전환을 꼽았다.
경영환경, ‘좋음’ 응답 57.2%로 증가
이번 BIAC 2023 경제정책 조사에 따르면,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은 올해 하반기 경영환경을 지난해에 비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는 경영환경 전망을 ‘좋음’으로 평가한 비율이 10.0%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57.2%로 긍정적 평가가 크게 개선됐다. 또한 경영환경을 ‘나쁨’으로 평가한 비율 역시 2022년 30.6%(나쁨 26.8% + 매우 나쁨 3.8%)에서 올해는 6.2%(나쁨 6.2% + 매우 나쁨 0%)로 감소했다.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 경영환경이 나쁘지 않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전히 글로벌 거시경제 전망 관련해서는 우려를 드러냈다. 가장 우려되는 부문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긴장’(60.2%)이 압도적으로 높은 가운데, 다음으로는 ‘자금조달 환경’(12.5%), ‘에너지 가격 및 공급’(7.7%), ‘노동력 부족’(4.6%) 등이 꼽혔다.
세계경제 여전히 취약… 인플레이션·에너지 가격·노동력 부족 대응 필요
OECD 경제단체들은 세계 경제계의 대응 과제로 크게 △인플레이션 △공급망 교란 △에너지 가격 △노동력 부족 4가지를 꼽았다. 먼저, 인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부정적 응답이 97.9%(매우 걱정됨 3.5% + 걱정됨 94.4%)를 차지하며, 대다수의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을 주요 위험요소로 평가했다.
반면 공급망 교란의 경우 지난해 응답국의 98.5%(매우 걱정됨 73.5% + 걱정됨 25.0%)가 부정적으로 전망했으나 올해는 30.8%만이 ‘걱정됨’으로 응답해 상대적으로 우려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가격과 노동력 부족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적인 에너지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게 나타났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가들은 에너지 소비 절감, 에너지 공급원 다변화 등으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해왔으나, 91.6%(매우 걱정됨 11.3% + 걱정됨 80.3%)가 여전히 에너지 이슈가 기업에 미치는 피해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노동력 부족에 대한 우려도 2022년 81.8%에서 2023년 94.5%로 12.7%p 가량 증가했다.
구조개혁 우선순위, 녹색·디지털 전환
구조개혁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환경과 디지털이 꼽혔다. 특히 ‘녹색 전환(green transition)’을 올해 구조개혁 우선순위로 뽑은 응답률은 2022년의 40.0%에서 올해 79.8%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에너지 위기에 대한 대응 및 환경 분야의 친기업적 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디지털 전환과 인프라’ 역시 70.3%의 응답을 얻으며 중요성을 입증했다.
또한 국제협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국제무역(78.1%), 지정학적 긴장감 완화(66.3%), 이민정책(57.6%) 등이 꼽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무역 및 지정학적 이슈가 여전히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전경련 김봉만 국제본부장은 “OECD 회원국 경제단체들이 지난해에 비해 긍정적 경제전망을 내놓은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지정학적 긴장과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위험요소는 여전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어 김 본부장은 “전세계적으로 ‘글로벌 대전환(global transition)’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BIAC이 구조개혁 분야로 디지털·녹색 전환을 꼽은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본다”며,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대전환의 의제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려면 국제공조와 협력을 공고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반도체·소재·자본재, 美·中·日과 경합 전망… “금융·운송 등 서비스 산업은 경쟁력 약해”
- 아시아 주요 13개국 경제단체, 산업발전 및 경제 성장전략 등 논의
- 전경련, “기술 해외유출은 국가경쟁력 훼손하는 중범죄, 양형기준 높여야”
- 2023년 수출 하반기 1.3% 감소 전망… 수출 하락세는 진정 예상
- 국내 기업경기 6월 BSI 90.9, 13개월 연속 제조‧비제조업 동반 부진 장기화
- 제조업 생산, 5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 올해 1분기 대비 3.4% 증가
- 현대케피코, 사우디서 2,500억 규모 수주… 전동화 신규사업 글로벌 수주 박차
- 개정된 ‘세법’… 중소기업 위한 세액공제 지원 범위 등 확대
- 신규 지방 공장, 준공 즉시 가동한다… ‘한국형 퀵스타트’ 시범사업 돌입
- 산업 인프라 전문 M-SDT, 클라우드 통합관리 플랫폼 ‘킹덤’ 출시
- 상반기 중기 수출 558억 달러, 감소세 계속… 6월 플러스 전환 등 ‘긍정신호’도
- 위로드산업, 비마커 및 AR 기술 융합해 스마트 제조 혁신 이끈다
- 에이수스, 인텔 프로세서 탑재 지능형 엣지 컴퓨터 ‘ASUS IoT PE2000S’ 출시
- 글로벌 AI 패권경쟁 격화,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 필요” 한목소리
- 한국과 호주 넷 제로 전환 위해 R&D·소재·자원까지 협력 강화
- 기업 60.6%, 22대 국회 중점 추진과제는 ‘경제활력 회복’
- 한국 국가경쟁력 28위에서 20위로 상승… ‘역대 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