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로 피해를 입은 KT 한 가입자의 스마트폰 결제화면./사진=연합뉴스
소액결제로 피해를 입은 KT 한 가입자의 스마트폰 결제화면./사진=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가입 기간이나 연령을 가리지 않고 무작위로 광범위하게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사건은 특정 고객군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대·전 계층을 아우르는 피해 양상을 보이며, KT의 관리 책임과 재발 방지 대책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23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는 총 362명이다.

이 가운데 20년 이상 장기 가입자도 10명이 포함됐다. 연도별로는 1999년 가입자 3명, 2000년 2명, 2002년 1명, 2004년 4명 등으로 분포했다.

가장 최근 피해자는 올해 7월 7일 신규 가입한 고객으로 확인됐다.

피해자 중에는 KT 고객이 아닌 KT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59명도 포함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 20대 36명, 60대 이상 51명으로 집계돼 전 세대에 걸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이번 사건으로 검거된 중국 동포 A씨는 윗선으로부터 500만원을 받고 아파트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범행을 지시받았다고 진술했다.

A씨는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승합차에 싣고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일대 아파트 단지를 돌며 소액결제를 실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KT는 지난 11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규모를 278명으로 발표했지만 18일 362명으로 정정했다.

이후에도 피해 지역이 추가 확인되면서 최종 피해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김장겸 의원은 “피해자 현황을 보면 특정 계층이나 연령이 아닌 무차별적 침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개인이 아무리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막기 어려운 사태였던 만큼, KT에 근본적 책임이 있으며 손해배상은 물론이고 재발 방지를 위한 확실한 대책을 즉시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