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해킹에 사용된 불법 기지국(ID) 수 십개가 새로 발견되면서 피해자 수도 추가됐기 때문이다.
16일 KT 해킹 사건 민관합동조사단에 따르면 해킹 범행에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KT가 발표한 4개의 기지국 ID에 더해 약 20여개의 ID가 추가 발견됐다.
이번에 확인된 불법 기지국 ID 추가 발견으로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도 10여명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KT는 지난달 23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가 총 362명으로 파악됐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이 집계한 피해 규모는 지난 13일 기준 220명에 1억4000여만원이다.
KT가 피해자로 발표한 인원 외 피해자가 경찰이 파악한 대상에 포함된 경우도 있어 피해자가 더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이미 제기된 바 있다. 결국 이같은 우려가 현실이 된 셈이다.
KT는 현재 추가적인 피해 규모와 해킹 경로에 대한 정밀 분석을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브리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입법조사처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위약금 면제’ 책임 있어”
- 최수진 의원 “KT, 소액결제 차단 사흘 뒤 보안 대응 5등급서 1등급 변경…대응 소홀”
- KT 김영섭 “SKT 해킹 사태 보다 심각…위약금 면제 검토”
- KT 김영섭 “펨토셀 관리 부실 인정…국민께 불안드려 죄송”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장기 가입자부터 신규 고객까지 ‘무차별 침해’
- KT 발표 믿을 수 있나…무단 소액결제 피해, 서울·경기 전역으로 확산
- [현장]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6명 늘어…지난달 5일 이후 추가 피해는 없어”
- KT, MS와 ‘KT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광화문을 AX 실현 거점으로”
- 이동통신 3사 CEO 국감 출석…국회 “이통사 해킹·피해 대응 총체적 부실” 질타
- KT, 국내 첫 UAM 실증사업자 지위 획득…아라뱃길서 'K-UAM' 2단계 실증 본격화
- KT, 글로벌 IT 기업 킨드릴과 B2B AX 업무 협약…"금융 등 규제 산업 AX 시장 공동 공략"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안 발표
- KT, ‘운명의 이사회’ 개최…김영섭 대표 거취·유심 전면 교체 여부 결판
- KT 김영섭 대표 "차기 KT 대표이사 공개모집에 불참"
- KT, 해킹 사실 알고도 은폐 정황…정부, 엄중 조치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