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지난 9월 11일 서울 광화문 KT 웨스트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지난 9월 11일 서울 광화문 KT 웨스트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사진=서영길 기자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해킹에 사용된 불법 기지국(ID) 수 십개가 새로 발견되면서 피해자 수도 추가됐기 때문이다.

16일 KT 해킹 사건 민관합동조사단에 따르면 해킹 범행에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KT가 발표한 4개의 기지국 ID에 더해 약 20여개의 ID가 추가 발견됐다.

이번에 확인된 불법 기지국 ID 추가 발견으로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도 10여명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KT는 지난달 23일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가 총 362명으로 파악됐다고 밝힌 바 있다. 경찰이 집계한 피해 규모는 지난 13일 기준 220명에 1억4000여만원이다.

KT가 피해자로 발표한 인원 외 피해자가 경찰이 파악한 대상에 포함된 경우도 있어 피해자가 더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이미 제기된 바 있다. 결국 이같은 우려가 현실이 된 셈이다.

KT는 현재 추가적인 피해 규모와 해킹 경로에 대한 정밀 분석을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브리핑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