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가 4일 이사회를 열고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에 착수한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김영섭 대표이사의 거취와 함께 지난 9월 발생한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 이후 논란이 된 ‘전 고객 유심(USIM) 무상 교체’ 여부도 함께 결정될 전망이다.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KT는 이날 이사회에서 차기 대표이사 선임 추진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KT 정관상 대표이사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까지 사내·외 후보군을 구성하도록 규정돼 있으며, 김영섭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까지다. 이에 따라 KT는 이달 중 CEO 공모 절차를 공식화할 방침이다.
대표이사 선임은 사외이사 8명으로 구성된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위원회)가 주도한다. 다만 사내이사는 여기에 참여하지 않는다.
위원회는 사내외 후보군을 검증한 뒤 서류 및 면접 평가를 거쳐 최종 1인을 추천하고, 이후 주주총회에서 출석 주주 의결권의 5분의 3 이상·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 찬성을 얻어야 선임된다.
사내 후보의 경우 회사 또는 계열사 재직 2년 이상, 부사장 이상 직급, 경영 전문성과 KT 사업 이해도 보유 등의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KT는 지난해 ‘대표이사 연임 우선심사제’를 폐지함에 따라, 김 대표가 연임을 희망하더라도 다른 지원자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해야 한다.
김 대표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연임 여부와 관련해 “총체적 경영 책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수준의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며 “사퇴를 제외한 것이 아닌 (사퇴를) 포괄하는 책임”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11월 초 새 대표 후보 선임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안다”며 “곧 있을 이사회에서 입장을 명확히 밝히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같은 발언으로 인해 업계는 김 대표가 이번 이사회에서 사퇴를 공식화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편, 이날 KT 이사회에서는 보안 강화 차원에서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무상 교체’ 시행 여부도 논의된다.
KT는 지난 9월 대규모 무단 소액결제 사고 이후 피해 고객에 한해 유심 무상 교체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국정감사에서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교체를 실시하라”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교체 범위를 전면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 대표는 국감 자리에서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 준비를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지난번처럼 (대기 줄이 길어지는)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재고 확보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이사회에서 의결되면 바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고 대응 과정에서 재고 부족으로 ‘유심 교체 대란’을 겪은 전례가 있는 만큼, KT는 사전 물량 확보와 교체 절차 정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편 KT는 무단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한 보상도 병행 중이다. 피해 고객에게는 5개월간 100GB의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고,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할인 또는 단말 교체 비용 지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 해킹 후폭풍에 흔들리는 ‘통신 3사 CEO 리더십’…SKT 교체·KT 고심·LGU+ 시험대
-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안 발표
- 이동통신 3사 CEO 국감 출석…국회 “이통사 해킹·피해 대응 총체적 부실” 질타
-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불법 기지국 ID 20여개 추가 발견
- 입법조사처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위약금 면제’ 책임 있어”
- KT 김영섭 “SKT 해킹 사태 보다 심각…위약금 면제 검토”
- KT 김영섭 “펨토셀 관리 부실 인정…국민께 불안드려 죄송”
- KT 발표 믿을 수 있나…무단 소액결제 피해, 서울·경기 전역으로 확산
- [현장] KT 김영섭 대표 “피해 고객에 100% 보상”…불법 기지국 원인 규명 착수
- KT 김영섭 대표 "차기 KT 대표이사 공개모집에 불참"
-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시행…5일부터
- “디지털 주권과 고성능 클라우드 동시에”…KT, 국내 특화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출시
- KT 차기 CEO 공모 마감…ICT 거물 20여명 뛰어들며 '각축전' 예상
- KT 이사후보추천위, 대표이사 후보 공개 모집 마감…본격 심사 절차 착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