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김은경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뒀다. 다만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기지 않는 선에서 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가격이 소득 수준과 사회적 안정 유지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라며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은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또 “구조 개혁이 고통을 수반하더라도 계속 추진돼야 하며, 월세를 받는 사람들에 대한 세제 혜택 등 정책적 조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현행 2.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올해 2월과 5월 금리를 인하한 이후, 7월과 8월에 2.50%로 동결한 바 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부동산 대책이 주택시장과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 환율 변동성 등 금융 안정 상황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현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금리 결정에서는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동결, 1명은 인하 의견을 냈다. 3개월 내 기준금리 방향에 대해선 4명이 인하 가능성을, 2명이 동결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 기조는 계속되겠지만, 금융 리스크가 커지면서 일부 금통위원이 인하에서 동결로 입장을 바꿨다”며 “금융 안정에 중점을 둔 만큼 인하 기조는 유지하되 인하 폭과 시기는 조정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해외증권투자가 달러·원 환율 상승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간 부문의 해외증권 투자가 증가하며 환율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며 “올해 들어 해외에서 들여오는 증권보다 우리가 보유한 해외증권을 내보내는 규모가 약 4배에 달한다”며 “관세 협상이 원활히 진행되면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 한은, 기준금리 2.50%로 세 번째 동결…부동산 과열·환율 불안에 ‘신중 모드’
- 조직 개편 요구 외면당한 한국은행 이창용, "한은 역할 변동 없다" 무덤덤
- 이창용 한은 총재 “물가안정목표제, '정치적 압력'에서 자유롭게 해줘”
- 한국은행, 기준금리 2.50%로 두 달 연속 동결…“가계부채·집값 추이 지켜볼 것”
- 한은, 기준금리 2.50% 동결…금융불안 속 10월 인하 가능성 '주목'
- 증권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 상향조정 "소비쿠폰·주가 상승에 소비심리 회복"
- 수도권 집값·가계대출 상승에 원·달러 환율 상승까지…한은 금리 4차례 동결 예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