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지엘켐은 이차전지용 바인더 소재 ‘MICELLCMC’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첨단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또한 생활·화장품 산업용 기능성 실리콘 브랜드 ‘COSILINE’, 식품·제약 산업용 안정제 ‘MICELLCMC’ 등을 제조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고기능성·친환경 화학소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배터리아시아쇼 2025’에서 지엘켐은 이차전지용 CMC(Carboxymethyl Cellulose) 바인더 제품을 선보인다. CMC는 천연 셀룰로오스의 하이드록시기(-OH)를 친수성인 나트륨(Na) 또는 리튬(Li) 카복시메틸기로 치환해 수용성을 부여한 고분자 소재로, 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제품은 활물질과 도전재 입자 간 최소한의 접착만으로도 높은 결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활물질 함량을 극대화하고 바인더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기여한다.
지엘켐은 점도, 치환도, 순도 등 주요 물성에 따라 다양한 등급의 CMC를 정제·가공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순도 CMC 제품 개발에 성공해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제조업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지엘켐은 전북 군산에 연 3,500톤 규모의 CMC 바인더 제조 공장을 증설해 생산 역량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급성장하는 이차전지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고품질 바인더 소재의 안정적 공급체계를 구축했다. 2025년 하반기에는 생산 효율화 및 품질 고도화 체계를 확립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용 고성능 수계 바인더 개발에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지엘켐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도전적인 R&D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주요 과제로는 △차세대 전기차용 실리콘 음극재 적용 NBR–CMC 복합 수계 바인더 개발 △고안정성 수계 폴리이미드(PI) 상용화 기술 개발 △2D 실록센(Siloxene) 음극재 상용화 기술 개발 등이 있다.
지엘켐 관계자는 “이러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출력·고용량 차세대 배터리에 대응하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전지 제조사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이차전지 바인더 소재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차세대 배터리 기술과 사용후 배터리, 전기차 충전인프라 등 새로운 시장 기회를 조망할 수 있는 ‘배터리아시아쇼(Battery Asia Show) 2025’는 오는 11월 5일부터 7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배터리 및 충전인프라 제품, 배터리 시험·인증 장비, 사용후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솔루션, 배터리 화재방지 솔루션 등 이차전지 산업 분야의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만나볼 수 있다.
- 제이에스텍, 배터리 코팅 공정 혁신으로 글로벌 생산라인 최적화 선도
- 자이스코리아, X-Ray·FIB-SEM 신제품 공개… 배터리 분석 정밀도 혁신
- 인셀, 액침 냉각 기술 적용한 ‘exCube’로 ESS 화재 위험 원천 차단
- 탄소중립산업포럼, 11월 5일 킨텍스 개최… 배터리·에너지트렌드 집중 조명
- 배터리 산업의 현재와 미래 한눈에… ‘배터리아시아쇼 2025’ 11월 5일 킨텍스 개막
- ‘2025 솔라아시아·배터리아시아쇼’ 오는 11월 5~7일 동시 개최
- 진용엔지니어링, 차세대 전극 코팅 기술로 글로벌 공정 경쟁력 강화
- 태원셀차저, S.C-S.V 기술로 전기차 충전 패러다임 전환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