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4일 기준 풍력은 72MW, 연료전지는 13MW 보급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지난달 기준 재생에너지 보급은 태양광과 풍력 중심의 보급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공단 통계분석실에 따르면 5월 24일 기준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1.43GW로 올해 보급목표인 1.7GW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타 원 중에서는 풍력이 72MW, 연료전지는 13MW 수준이다.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는 태양광이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태양광 보급은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665MW로 단연 최대 실적을 보였다. 지난 2016년 국내에 신규 설치된 태양광 설비가 850MW인 점을 생각하면 그 속도와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태양광 665MW가 신규 설치됐다. [사진=pixabay]](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6/24189_15022_2243.jpg)
차질없는 정책으로 활발한 사업 추진
산업부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발표 이후,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수요가 높아졌고, 이외 정책과제도 차질 없이 추진되면서 보급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RPS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자 선정결과도 눈에 띈다. 입찰에는 총 3,316개소 1,07만8,113kW, 설비용량 기준 96만2,418kW가 접수됐고, 1,517개소 25만653kW, 설비용량 11만9,588kW가 선정됐다. 이는 전년 대비 3배 증가한 수치다.
공급의무자중 한국수력원자력은 반기별 30MW 이상, 한국남동발전·한국중부발전·한국서부발전·한국남부발전·한국동서발전에서는 반기별 24MW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자 선정을 의뢰토록 의무화하고 있고, 선정된 발전소와 고정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고정가격계약 입찰제도가 국내 태양광 산업을 육성하고, 의무공급량의 안정적 의무이행 지원과 태양광발전사업자의 투자 안정화 유도에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이처럼 국내 태양광 수요의 90% 이상은 발전사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를 통해 발생한다.
![태양광에 비해 풍력발전설비 확대가 더딘 편이다. [사진=세계풍력협회]](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6/24189_15023_2515.jpg)
주춤하고 있는 풍력과 연료전지 활성화 요구
보급 확대를 위한 주민참여형 사업도 진전을 맞게 된다. 산업부에 따르면 최근 자가용 태양광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국적으로 100여개 협동조합과 1,865호(약 358MW)의 농가가 태양광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중부발전의 충남 공주 태양광발전(주민 지분참여 20%) 등 5개 발전사가 11건의 재생에너지 사업(1,6GW)에 주민이 지분을 참여해 수익을 공유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134개 24.9GW 태양광, 풍력 프로젝트가 계획되고 있으며, 올해 군산 비응도의 18.7MW급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이 준공예정이다.
이처럼 태양광 보급이 늘어나고 있지만 2017년 누적기준 태양광 설치량은 5,699MW로 우리나라 발전용량의 5.2%에 불과하다. 향후 발전용량 비중에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급이 꾸준히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에 비해 풍력과 연료전지 보급 확대가 더딘 편이다”면서, “지난 가중치 개정안 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부 의지가 확인된 만큼 부지, 인허가 등의 과정에서 솔루션이 제시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임야 태양광은 난개발의 표본 아니다
- 재개발 사업 간 태양광 의무화, 전국 확산 필요하다
- 돌연 취소된 수상태양광 입찰, 중소기업 사업화 차질 우려
- 예산 증액에도 수요 못 따라가, 농촌태양광 인기 실감
- 석유 소비 줄고, 신재생에너지 소비 확대 양상
- 유럽과 일본, 연료전지 지원 활발! 한국은?
- 산업부-중 상무부, 양국간 경제협력 확대 논의
- 에너지신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보다
- [엑스포솔라] RPS 가중치 확정, 내주 고시 예정
- 동서발전 친환경 항만 조성에 힘 보탠다
- 한국에너지공단, ‘베트남 산업계 에너지효율 투자활성화 초청연수’ 개최
- 재생에너지 확대 위한 ‘태양광 나눔’ 협약
- 스코트라, 수상태양광 수요 확대 대응 위한 케파 증설
- 동서발전,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 앞장
- 서부발전, 농어촌 상생협력기금 출연협약 체결
- 한국남동발전, 베트남 발전사업 진출 위한 현지 사무소 개소
- 한국남부발전, 에너지전환 정책 선도를 위한 사업개발 박차
- 남부발전, 지역민과 태양광 사업 MOU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