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업체 특허출원 주도, 중소업체 기술 개발 이어져야
[인더스트리뉴스 최홍식 기자] 특허청(청장 성윤모)에 따르면, 수소전기차의 핵심부품인 연료전지 스택에 관련된 특허출원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약 180건 안팎으로 꾸준하게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가 특허출원을 주도하고 있고, 도요타와 같은 해외기업이나 국내 일부 중소업체도 일부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특허출원을 진행하고 있다.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수소전기차 스택에 대한 특허출원도 활기를 띠고 있다. [사진=dreamstime]](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7/25142_16127_327.jpg)
현대차는 수소전기차의 핵심부품인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1,317건, 연평균 131.7건을 특허출원하면서 수소전기차에 대한 기술 개발을 가장 활발하게 진행해왔다. 해외기업인 도요타 역시 같은 기간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국내에 총 380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특히 2015년에는 16건을 출원해 현대차의 135건을 일시적으로 넘어서기도 했다. 도요타의 이러한 활동은 수소전기차 주도권 경쟁에서 현대차를 견제하고, 도요타 수소전기차의 국내 출시에 대비하기 위해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중소 부품업체의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국내 특허출원은 같은 기간 총 101건으로 현대차 대비 7.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국내에 수소전기차의 저변이 확대되지 않아 현대차 주도의 기술 개발이 이뤄진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주요 자동차업체 연료전지 스택 국내 특허출원 연도별 통계표 [자료=특허청 특허출원시스템 분석결과]](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1807/25142_16126_5556.jpg)
연료전지 스택은 양극, 음극, 전해질막, 촉매, 분리판, 기체확산층, 엔드플레이트 등의 다양한 세부 부품이 망라된 장치다. 완성차 업체가 전체의 기술 개발을 총괄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핵심 부품의 기술 개발에서 중소 부품업체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허청 유준 자동차융합심사과장은 “우리 업체들이 차세대 친환경차인 수소전기차 시장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수소 충전 기반시설 구축과 함께 효율적인 연료전지 스택 개발도 요구된다”며, “이를 위해 완성차 업체에서 중소 부품업체로 기술 개발의 선순환이 이뤄지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 수소차 시장 선점 위해 2022년까지 2조6,000억원 투자
- 현대차그룹, 아우디를 수소전기차 파트너로... ‘동맹’
- 수소차로 기후변화 대응, 핵심부품 국산화 안되면 공염불
- 올해 중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 수소전기차 충전소 구축
- 고효율의 연료전지, 친환경 미래에너지로 각광
- 민관 하나돼 수소충전소 구축 본격화
- 경동도시가스, 연료전지 발전사업 본격화
- 포항 GreenWay 전기차 퍼레이드로 전기차 홍보
- 전북, 친환경 상용차 글로벌 전진기지 사업 예비 타당성조사 신청
- 부산 청년 취업자 전기차 타고 출퇴근 한다
- 수소전문인력 양성으로 다가올 수소경제사회 대비
- 움직이는 공기청정기, 수소차 민간 보급 확대
- 친환경 전기차 탈수록 장애아동 위한 기부금 쌓인다
- 수소경제사회,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 글로벌 시장은 수소에너지에 집중하고 있다!
- 전기자동차, 국산 SiC 전력반도체 기술로 10% 더 달린다
- 다가올 수소경제사회, 우리의 준비상황을 살펴보다
- 이엠코리아, 친환경 수소 충전소 구축에 앞장
- 친환경차 보급, 환경규제 줄이고 기술개발 지원 요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