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제주에너지공사(사장 황우현)는 행원 풍력발전단지에서 설계수명 20년이 경과한 6호기에 대해 자체 상태진단 결과를 토대로 6월 13일 가동중지를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공사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지역주민과 공사 설비관리 직원, 상주 용역기업 근로자의 안전 확보와 위해요소 사전 해소를 위해 취한 조치”라고 밝혔다.
풍력발전기는 기계, 전기적으로 주요 부품의 내용연수를 20년으로 한정하고 있다.
행원 풍력 6호기(Neg-Micon(덴마크), 750kW)는 2000년 2월에 설치헤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발전기 중 하나다. 2000년 3월1일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해 현재까지 19만5,384시간, 22년 3개월간 운영해 왔다. 공사 발전과 지역마을의 수익공유에도 기여해 왔으나 최근 기후위기로 폭우, 돌풍, 태풍과 같은 기상 여건이 거세지면서 안전성 우려가 제기돼 왔다.
공사는 그동안 설비운영 전담팀을 배치해 노후 풍력발전기의 안전 운영을 위해 진동분석, 상태진단, 정기점검, 예방‧경상정비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메인 베어링 및 기어박스 등 상태변화를 점검하며 가동시켜 왔다. 하지만 최근 실시한 점검결과 전체적인 설비 노후화가 진행돼 정상 가동을 위해서는 대수선이 필요하고, 고장발생 시에는 구식화된 수리부품의 적기 해외 조달이 곤란해 유지비 부담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수익성을 고려해 연장 운전할 경우에는 전문기관에 의해 정밀진단한 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결정해야 한다.
공사 황우현 사장은 “최단기간 내에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명연장, 철거 재활용 등 결정할 예정”이라며, “정밀 설비진단과 예방정비 체계를 수립해 수명진단 후 연장가동과 리파워링 여부를 빅데이터 기반의 최적 의사결정시스템에 적용해 판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제주도·에너지공사, 취약계층 하절기 전기요금 3억원 지원
- 제주에너지공사, 800시간 풍력설비 연속 무고장 운전 달성
- 제주에너지공사,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따른 전력망 안정화’ 세미나 개최
- 분산에너지 기틀 잡나? ‘제주형 분산에너지 기본계획’ 마련
- 제주에너지공사, 쓰레기매립지 등 유휴공간 활용한 태양광사업 추진
- 제주에너지공사, 3개월 만에 풍력설비 가동률 98.6%, 이용률 17.38% 개선
- 제주에너지공사, 풍력발전 REC 매입사업자 공모
- 제주도에 미래 폐자원 재활용산업 육성 위한 대규모 자원순환클러스 들어선다
- 제주도, ‘2040 플라스틱 제로 아일랜드’ 선언… 글로벌 선진 모델 만든다
- 제주에너지공사, ‘2022년 제2차 CFI 도민참여 에너지 거버넌스’ 회의 개최
- 제주도, 풍력 이어 태양광도 공유화한다… “도민사회에 이익 환원 목표”
- 제주도, 총인구 사상 첫 ‘70만명 시대’ 진입
- 제주도 2040년엔 1회용품 없는 섬 된다
- 제주에너지공사, 도내 초중교생 450여명 대상 ‘CFI 에너지 교육’ 진행
- 제주에너지공사, 풍력발전설비 고장 복구 기술 세미나 개최
- 제주도,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 카본프리아일랜드 가속화
- 제주도, SK E&S·아모레퍼시픽과 마을풍력 RE100 가상 전력구매계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