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산업부와 에너지공단이 포항시, 신안군과 4.6GW 규모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 2월 1일부터 두 달간 진행된 ‘2023년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두 지자체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31.5억원(10.5억원/년)의 국비를 지원받게 된다. 해상풍력 단지개발 관련 환경성·수용성·사업성 등 사전 타당성 조사를 위해 △풍황자원 및 해황 조사 △인·허가 저촉여부 조사 △지역 수용성·환경성 조사 △단지개발 기본계획 수립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는 총 사업비의 50% 이상을 지방비·민자로 부담한다.
그간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은 서해안을 중심으로 추진됐으나, 올해 동해안 지자체 중 최초로 포항시가 선정돼 1GW(고정식 0.5GW, 부유식 0.5GW) 규모로 타당성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포항시와 함께 경상북도, 경상북도개발공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포항테크노파크, 한국전력기술, 한국동서발전, 한국수력원자력이 참여기관으로 참여한다.
신안군은 기존 육지와 가까운 해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8.2GW 규모의 고정식 해상풍력 사전 타당성 조사(2021년 지원사업에 선정)에 이어, 올해 흑산도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3.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사전 타당성 조사를 추진하며 녹색에너지연구원과 신안군부유식산업협회가 참여기관으로 참여한다.
한편, 이번 사업은 2020년부터 매년 공모를 통해 지원 지자체를 선정하고 있으며, 2020년 전라북도·보령시, 2021년 태안군·신안군, 2022년 군산시가 선정돼 해상풍력 사전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는 “지자체가 주도해 주민·어업인과 함께 사전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수용성 문제로 지체됐던 해상풍력 사업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공공주도 해상풍력 개발·운영을 통해 지역 산업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전남도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와 그린수소 클러스터 구축할 것”
- 정부,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향상 위해 ‘글로벌 경제협력’ 강화 나서
- LS일렉트릭, 베트남서 친환경 변압기 등 ‘스마트 전력 솔루션’ 선봬
- 정부,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향상 위해 안내서 발간… 소통 체계화 나서
- 울산 부유식해상풍력발전협의회 닻 올려… 정부 협의·지역사회 기여할 것
- 한국동서발전-충남개발공사, ‘에너지 자급형 그린산단’ 조성 협약
- 창원 스마트산단 에너지 자급자족형 인프라 구축…‘통합에너지관리시스템’ 활성화 기대
- 동서발전 등 3개 기관 ‘석탄발전소 협력사 업의 전환 지원’ 협약
- 포항시, 효곡동 행정복지센터에 52kW 태양광발전 운영
- 녹색에너지연, 탄소중립과 지역에너지 분권을 위한 생태경제도시 육성 세미나 열어
- COP코리아, 신안부유식풍력산업협회 ‘제2대 회장사’ 취임
- 보령호‧홍성호에 202MW 규모 태양광발전소 들어선다
- 신안군, ‘제6회 대한민국 솔라리그’서 태양광 보급 우수지자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