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화공생명공학과 유승호 교수 연구팀은 중앙대학교 문장혁 교수 연구팀과 함께 상온 구동 시 리튬이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성능 저하의 원인을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 소재 분야의 국제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 (IF=26.0)’ 온라인에 지난 3일 게재됐다.
논문명은 Origins of Abrupt Capacity Degradation in Lithium-Ion Batteries with Silicon-Based Anodes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더 높은 성능의 리튬이온전지가 요구되면서, 기존 흑연을 대신할 차세대 음극 소재 연구가 활발하다.
그중 실리콘 산화물(SiO)은 높은 용량과 부피 팽창 완화 효과로 주목받지만, 장기간 사용 시 안정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연구팀은 장기간 구동 실험을 통해 상온(25℃)에서 빠른 속도로 충·방전을 반복하면 흑연/SiO 음극에서 갑작스러운 용량 저하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반면 고온(50℃)이나 느린 속도의 충·방전 조건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그 원인이 리튬 농도 차이에서 비롯된 확산 유도 응력(diffusion-induced stress)임을 확인했다.
상온에서는 리튬 확산이 느려 입자 내부와 표면의 농도 차이가 커지고, 그 결과 입자 표면에 균열이 생긴다. 균열은 전해질 분해를 촉진해 리튬 이동을 막는 두꺼운 막을 만들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성능이 빠르게 떨어진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결국 실리콘 산화물은 ‘SiO-SEI 크러스트’라는 두꺼운 비활성층을 형성하며 기능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팀은 충·방전 사이에 잠시 쉬는 ‘이완 단계(relaxation step)’를 거치면 리튬 농도 차이가 완화돼 급격한 용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도 입증했다. 이는 확산 유도 응력이 실리콘 음극 성능 저하의 핵심 원인임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설명이다.
유승호 고려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실리콘 음극의 열화 과정을 근본적으로 규명해 장수명 고에너지 전지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며 “향후 실리콘 기반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원천기술국제협력개발사업(이차전지 국제공동연구) 및 LG에너지솔루션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 고려대 “국회 보안점검 TF 명단 유출, 비공개 자료 아냐…사건 과도하게 부풀려져”
- 고려대, 세계 최초로 산모 장내 세균·식습관이 아토피 발병에 미치는 영향 밝혀내
- 고려대 이승우 교수 연구팀, 자동차·태양전지 온도 낮추는 투명 냉각 필름 개발
- [현장] “‘김수키’ 北 아닌 中 해커 개입 정황 뚜렷”…고려대, 대규모 해킹 공격 분석 결과 발표
- 고려대, 새로운 전극 보호층으로 아연 전지 내구성 높인다
- 고려대, 세계 최초 ‘계층적 고분자 그래프’ 딥러닝 모델 개발…전해질 성능 초정밀 예측
- 고려대, K-MOOC 블루리본 강좌 2개 선정... "온라인 교육 역량 입증"
- 고려대, 리튬-황 배터리 내부 반응 실시간 관측…“첨가제 역할 다각적 규명”
- “하버드·스탠퍼드도 온다”…고려대, 글로벌 보건·안전 세미나 주최
- 고려대, 2학기 ‘천원의 아침밥’ 개시…“학생들에게 든든한 한 끼 지원”
- 리튬 금속 배터리 ‘더 오래, 더 안전하게’…고려대, '은 이온' 이용한 코팅 기술 개발
- “뇌처럼 학습하는 반도체가 현실로”…고려대, 수소결합 인공시냅스 개발
- 고려대, KIST와 얼려 굳힌 ‘하이드로젤’로 세포외 소포체 간편분리 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