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유승호 교수(교신저자), 고려대 이윤정 석박통합과정(제1저자)./사진=고려대학교
(왼쪽부터)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유승호 교수(교신저자), 고려대 이윤정 석박통합과정(제1저자)./사진=고려대학교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화공생명공학과 유승호 교수 연구팀은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으로 리튬-황 전지(배터리) 속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질산리튬 첨가제가 전지 내 계면 전반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다각도로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에너지 분야의 국제적인 학술지 ‘InfoMat(IF=22.3)’ 온라인에 지난 7일 게재됐다.

논문명은 Comprehensive elucidation of the multifunctional role of lithium nitrate in lithium-sulfur batteries: expanding beyond shuttle suppression이다.

리튬-황 전지는 비용이 낮고 독성이 적으면서도 에너지 저장 용량이 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활물질의 낮은 전기 전도도와 다황화물의 셔틀현상, 리튬금속 음극의 불안정성 문제가 있어 실제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활물질의 반복적인 용해 및 석출로 배터리 내부 반응을 직접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미흡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튬-황 전지 내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이 전극으로부터 용해 및 전착되는 과정, 다황화물이 녹고 확산되는 과정, 황이 결정으로 석출돼 재분포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리튬-황 전지의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 이미징 및 질산리튬 유무에 따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 모식도./자료=고려대학교
리튬-황 전지의 오페란도 광학 현미경 이미징 및 질산리튬 유무에 따른 전극-전해질 계면 반응 모식도./자료=고려대학교

아울러 촬영한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그동안 명확히 설명하기 까다로웠던 배터리 내부 반응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질산리튬 첨가제의 유무에 따라 전지 계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달라지는 것도 확인했다.

질산리튬이 있을 경우 ▲리튬 금속의 불규칙한 탈락 억제 ▲다황화물 이동 완화 ▲황 결정화 균일화 촉진 등 다양한 안정화 효과가 나타나 배터리의 수명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유승호 고려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황 전지 속 전극-전해질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전해질 성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해 성능 최적화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 교수는 이어 “이번 기법은 다른 전지에도 적용 가능해 고성능 배터리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LG에너지솔루션과의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연구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